📋 목차
유선 네트워크가 갑자기 안 되면 당황스럽죠. 그래도 순서를 잘 지키면 원인을 금방 좁힐 수 있어요. 물리(케이블·포트) → OS(어댑터·IP) → 장비(공유기·모뎀) → 고급(스위치·VLAN·인증) 순으로 보면 헛걸음이 줄어들어요.
내가 생각 했을 때 가장 빠른 루틴은 “케이블 교차 테스트 → 다른 포트/장치 테스트 → 어댑터 재시작/드라이버 → IP 초기화”예요. 아래 단계대로 차근차근 따라와요.
👇 버튼 눌러 바로 설정·문제 해결 열기

🧭 증상 분류와 원인 맵
증상별로 의심 대상을 먼저 좁혀요. 아래 표에서 케이스를 골라 다음 섹션 순서를 정하면 돼요.
🧩 증상 → 1차 원인 매핑
증상 | 가능 원인 | 우선 조치 |
---|---|---|
랜 케이블 꽂힘 불량 | 클립 파손, 접촉 불량 | 다른 케이블/포트 교차 |
트레이에 지구본/노란 경고 | IP 미할당, DHCP 문제 | 어댑터 재설정, ipconfig /renew |
어댑터에 빨간 X | 드라이버/어댑터 비활성 | 장치 관리자 확인, 드라이버 재설치 |
핑 게이트웨이 실패 | 공유기 문제, 라인 다운 | 공유기 재부팅, 모뎀 상태 점검 |
웹만 안 열림 | DNS 문제 | DNS 수동 설정(1.1.1.1/8.8.8.8) |
랜포트 LED 색/점멸도 힌트예요. 대부분 주황/녹색 LED가 점멸하면 링크·트래픽이 있는 거고, 완전 소등이면 물리 링크가 안 잡힌 거예요.
🔌 케이블·포트·장비 물리 점검
1) 케이블 교차: 다른 랜선으로 교체해요. 탭이 헐렁하거나 커넥터 금속 핀이 눌린 케이블은 링크가 불안정해요.
2) 포트 교차: 본체 후면 다른 포트(메인보드/확장랜), 공유기 다른 포트로 바꿔 꽂아요. 스위치 포트 장애도 흔해요.
🧵 케이블·포트 체크표
항목 | 정상 | 이상 징후 |
---|---|---|
RJ-45 탭 | 딸깍 고정 | 헐렁, 빠짐 |
케이블 외피 | 무손상 | 눌림/꺾임/절손 |
포트 LED | 점등/점멸 | 소등(링크 없음) |
3) 중간 장치 제거: 허브/벽면 포트/연장 젠더를 잠시 빼고 공유기 직결해요. 경로를 단순화하면 원인이 드러나요.
🪟 윈도우 설정·드라이버 점검
1) 어댑터 재시작: 설정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고급 네트워크 설정
에서 이더넷 어댑터를 ‘사용 안 함’ 후 다시 ‘사용’으로 전환해요.
2) 장치 관리자: devmgmt.msc
→ 네트워크 어댑터 → 느낌표 여부 확인 → 드라이버 업데이트/삭제 후 재부팅. 메인보드/노트북 제조사 드라이버가 가장 안정적이에요.
🛠 드라이버 점검 포인트
상태 | 의미 | 조치 |
---|---|---|
느낌표/코드 10 | 장치 초기화 실패 | 재설치/칩셋 드라이버 |
코드 31/43 | 장치 동작 불가 | 드라이버 버전 교체 |
장치 숨김 | 비활성/전원관리 | 전원 절약 해제 |
3) 전원 관리: 어댑터 속성 → 전원 관리 → ‘전원을 절약하기 위해 이 장치 끄기’ 해제. 노트북 절전 모드에서 링크 끊김을 줄여요.
🌐 IP/DNS 재설정·초기화
관리자 권한 PowerShell/명령프롬프트에서 아래 순서대로 실행해요. 한 줄씩 입력 후 엔터해요.
📜 네트워크 초기화 명령
명령 | 설명 |
---|---|
ipconfig /release |
현재 IP 반환 |
ipconfig /flushdns |
DNS 캐시 삭제 |
ipconfig /renew |
새 IP 요청(DHCP) |
netsh winsock reset |
소켓 초기화(재부팅 필요) |
netsh int ip reset |
TCP/IP 스택 초기화 |
DNS 수동 설정도 효과적이에요: 어댑터 속성 → IPv4 → DNS를 1.1.1.1
, 보조 8.8.8.8
로 지정하고 테스트해요.
📡 공유기·모뎀·스위치 트러블슈팅
1) 전원 리부트: 모뎀 → 공유기 순서로 전원을 끈 뒤 30초 대기 → 모뎀 켬 → 1분 대기 → 공유기 켬. WAN이 먼저 살아야 해요.
2) 링크 속도/듀플렉스: 공유기/스위치가 구형이면 자동 협상 실패가 나요. 어댑터 속성 → 고급 → 속도/듀플렉스를 1.0 Gbps Full
또는 100 Mbps Full
로 고정해 테스트해요.
🔎 게이트웨이/인터넷 분리 진단
핑 대상 | 성공 | 실패 | 판단 |
---|---|---|---|
게이트웨이(예: 192.168.0.1) | O | X | LAN 문제 |
공인 IP(1.1.1.1) | O | X | WAN/ISP 문제 |
도메인(google.com) | O | X | DNS 문제 |
3) MAC 바인딩/회선 인증: 일부 통신사는 등록 MAC만 인터넷 허용해요. 공유기 WAN MAC을 기존 장치로 클론하거나, 고객센터에 등록 변경을 요청해요.
🏢 기업/고급 환경 체크(VLAN·802.1X)
사무실 포트는 VLAN 태깅, 802.1X 인증, 포트 보안이 걸려 있을 수 있어요. 임의로 포트 바꾸면 차단돼요. IT 담당자의 스위치 포트 설정(Access/Trunk, VLAN ID), 인증 상태(EAP-TLS/PEAP), NAC 정책을 확인해요.
🏷 관리 네트워크 체크리스트
항목 | 정상 기준 | 이슈 시 |
---|---|---|
VLAN | 포트 액세스 VLAN 일치 | DHCP 실패/통신 단절 |
802.1X | 인증 성공 | Guest VLAN/차단 |
프록시 | 정책/인증 정상 | 웹만 차단 |
원격근무 VPN 사용 중이면 스플릿 터널링/전체 터널링 정책 차이로 내부/외부 통신이 갈릴 수 있어요. DNS도 사내로 고정되어 웹 접속이 느려질 수 있어요.
❓ FAQ
Q1. 케이블 꽂았는데 아이콘에 빨간 X가 떠요.
A1. 물리 링크 미수립이에요. 케이블/포트 교차 → 다른 장치로 링크 확인 → 어댑터 전원관리 해제 순으로 봐요.
Q2. ‘식별되지 않은 네트워크’가 나와요.
A2. IP/DHCP 문제일 가능성이 커요. ipconfig /release
→ /renew
→ 공유기 DHCP 확인해요.
Q3. 웹만 안 열리고 핑은 돼요.
A3. DNS 이슈일 수 있어요. IPv4 DNS를 1.1.1.1/8.8.8.8로 수동 설정해요.
Q4. 업데이트 후 유선이 끊겨요.
A4. 드라이버 호환성 이슈일 수 있어요. 이전 버전 롤백 또는 제조사 드라이버로 교체해요.
Q5. 노트북 도킹 후만 문제가 생겨요.
A5. 도킹 스테이션 펌웨어/케이블 문제 가능성이 커요. 직결 테스트와 펌웨어 업데이트를 해요.
Q6. 스위치 한 포트만 문제가 있어요.
A6. 포트 하드웨어 장애일 수 있어요. 다른 포트로 옮기고 스위치 로그를 봐요.
Q7. 링크는 되는데 10Mbps로만 잡혀요.
A7. 케이블/커넥터 품질 이슈가 흔해요. CAT6 케이블로 교체하고 속도/듀플렉스 고정 테스트해요.
Q8. 인터넷은 되는데 사내망이 안 돼요.
A8. VLAN/라우팅 정책 문제일 수 있어요. IT에 포트 설정 확인을 요청해요.
Q9. 회선이 자주 끊겨요.
A9. 모뎀/공유기 발열·펌웨어 이슈, ISP 라인 문제 등. 위치 환기, 펌웨어 업데이트, ISP 문의를 해요.
Q10. 벽면 랜포트가 안 돼요.
A10. 패치패널/스위치 연결이 없는 포트일 수 있어요. 관리실/IT에 활성화 요청해요.
Q11. 회사 보안 프로그램이 인터넷을 막는 것 같아요.
A11. DLP/프록시 정책일 수 있어요. 정책 예외 요청 또는 정책 로그 확인이 필요해요.
Q12. 랜선 클립이 부러졌어요. 임시 방법은?
A12. 임시 테이핑은 비추예요. 케이블을 교체하는 게 안전해요.
Q13. USB 랜어댑터로 대체해도 되나요?
A13. 네, 급한 해결책으로 좋아요. 가능하면 기가비트 규격 제품을 써요.
Q14. 랜카드가 장치 관리자에 안 보여요.
A14. BIOS에서 비활성화됐거나 하드웨어 고장일 수 있어요. BIOS 초기화/드라이버 설치를 해요.
Q15. 고정 IP 환경인데 접속이 안 돼요.
A15. 서브넷/게이트웨이/중복 IP를 확인하고, 관리자에게 최신 IP 스키마를 확인해요.
Q16. 프린터/NAS만 안 보여요.
A16. 다른 서브넷에 있거나 방화벽 차단일 수 있어요. 라우팅/SMB 설정을 점검해요.
Q17. 속도는 나오는데 지연이 심해요.
A17. 이더넷 전원관리/그린이더넷 옵션을 끄고, 케이블/스위치 품질을 확인해요.
Q18. 공유기에만 연결되면 안 돼요.
A18. 공유기 DHCP 범위/차단 규칙, MAC 필터링을 확인해요.
Q19. 재부팅하면 잠깐 되고 다시 끊겨요.
A19. 드라이버 충돌/보안 소프트웨어 간섭 가능성이 있어요. 클린부팅으로 확인해요.
Q20. 토렌트 사용 후부터 느려요.
A20. 연결 수/세션이 공유기 자원을 고갈시켜요. 공유기 재부팅/세션 제한을 둬요.
Q21. Wake-on-LAN 쓰면 링크가 꼬여요.
A21. 고급 탭의 WoL/절전 혼합 옵션을 조정해요.
Q22. IP 충돌 알림이 떠요.
A22. 다른 장치와 같은 고정 IP를 사용 중이에요. DHCP 또는 다른 IP로 변경해요.
Q23. ISP 모뎀에 직결하면 되는데 공유기만 거치면 안 돼요.
A23. 공유기 WAN 설정, PPPoE 계정, MAC 클론을 확인해요.
Q24. 회사 게스트 포트는 되는데 내 자리 포트는 안 돼요.
A24. 포트 보안/802.1X 정책 차이예요. 담당자에게 포트 전환을 요청해요.
Q25. 케이블 길이가 길면 속도가 떨어지나요?
A25. 100m를 넘기면 규격상 문제가 생겨요. 장거리면 스위치로 중계해요.
Q26. 번개/정전 이후부터 안 돼요.
A26. 포트 손상 가능성이 있어요. 다른 포트/장치로 교차 테스트하고 장비 점검을 받아요.
Q27. 윈도우 네트워크 재설정은 효과가 있나요?
A27. 드라이버/프로토콜 초기화로 깔끔해져요. 다만 VPN/가상 어댑터가 초기화돼 재설정이 필요해요.
Q28. Hyper-V/VMware 설치 후 유선이 꼬였어요.
A28. 가상 스위치가 바인딩을 바꿔서 그래요. 물리 어댑터 바인딩을 확인해요.
Q29. 방화벽이 인터넷을 막을 수 있나요?
A29. 가능해요. 보안 제품의 네트워크 필터를 잠시 비활성화해 원인을 분리해요.
Q30. 최후의 수단은 뭔가요?
A30. 다른 OS/부팅 USB로 라이브 테스트 → 정상이라면 윈도우 초기화, 여전히 불가면 하드웨어 교체를 봐요.
⚠ 주의사항 및 면책조항
본 문서는 일반 정보 제공 목적이에요. 안내된 절차를 적용하는 과정과 결과(데이터 손실, 업무 중단, 장비 손상, 설정 오류, 보안 사고 등)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어요. 변경 전 중요한 자료를 백업하고, 기업/기관 환경에서는 내부 보안 정책·자산 관리 규정을 우선해요.
전기·낙뢰·정전기(ESD) 위험이 있는 환경에서 장비를 취급할 때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고, 정전기 방지 조치를 취해요. 통신사·장비 제조사의 약관과 보증 범위를 확인하고, 펌웨어 업데이트·설정 변경은 공식 가이드를 따라요. 본 문서는 특정 제품·서비스를 보증하거나 대리하지 않으며, 법률·세무·기술적 자문을 제공하지 않아요. 링크된 외부 페이지의 콘텐츠·정책은 각 제공자에 귀속되며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