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파란 화면과 함께 자동 재부팅… 당황스럽지만 대부분 원인은 패턴이 있어요. 오류 코드, 최근 변경 사항, 드라이버/하드웨어 상태만 차근차근 보면 금방 길이 보여요. 이 글은 실제 복구 루틴을 단계별로 정리해 한 번에 해결할 수 있게 도와줄 거예요.
내가 생각 했을 때 가장 빠른 접근은 “부팅 안정화 → 최근 변경 되돌리기 → 드라이버/업데이트 → 하드웨어 검사” 순서예요. 아래 체크리스트와 명령어, 표준 절차를 위에서부터 그대로 따라와요. 초보도 충분히 할 수 있게 쉬운 버튼과 경로를 함께 넣었어요.
👇 아래 버튼으로 바로 진단 시작

🧭 증상 이해와 원인 분류
블루스크린(BSOD)은 커널 수준의 치명 오류가 발생했을 때 시스템을 보호하려고 강제 중지하는 상황이에요. 핵심 단서는 오류 코드와 최근 변경 내역이에요. 예: IRQL_NOT_LESS_OR_EQUAL
는 드라이버 메모리 접근 문제, CRITICAL_PROCESS_DIED
는 시스템 프로세스 손상 가능성을 뜻해요.
발생 조건을 기억해요. 부팅 직후면 시스템 서비스/드라이버, 게임 중이면 그래픽/전원, 휴면 복귀 시면 스토리지/ACPI가 의심돼요. 증상이 작업 강도와 함께 나타나는지도 중요해요.
📋 자주 보는 오류 코드 간단 표
에러 코드 | 주요 원인 | 빠른 조치 |
---|---|---|
IRQL_NOT_LESS_OR_EQUAL | 불량/충돌 드라이버 | 최근 드라이버 롤백 |
CRITICAL_PROCESS_DIED | 시스템 파일 손상 | SFC/DISM 복구 |
DPC_WATCHDOG_VIOLATION | 스토리지/펌웨어 지연 | 스토리지 드라이버 갱신 |
MEMORY_MANAGEMENT | 램 오류/오버클럭 | 메모리 진단, XMP 해제 |
VIDEO_TDR_FAILURE | GPU 드라이버/발열 | 그래픽 드라이버 재설치 |
최근 바꾼 것(드라이버, 윈도우 업데이트, 새 하드웨어, 레지스트리/튜닝툴)을 리스트업하고, 그 전으로 되돌릴 준비를 해요. 복원 지점이 있다면 골든 키가 돼요.
🆘 빠른 복구 모드 진입
강제 복구: 전원 버튼 길게 눌러 종료 → 전원을 켜고 부팅 중 강제 종료를 2~3회 반복하면 ‘고급 복구’ 환경(WinRE)으로 들어가요. 여기서 시스템 복원
, 시동 복구
, 고급 옵션 → 명령 프롬프트
를 이용할 수 있어요.
필수 명령: 관리자 명령창에서 순서대로 실행해요.
1) sfc /scannow
2)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3) chkdsk C: /f /r
(재부팅 필요)
🧭 WinRE에서 권장 선택 순서
단계 | 메뉴 | 목적 |
---|---|---|
1 | 시동 복구 | 부팅 관련 자동 복구 |
2 | 시스템 복원 | 변경 전 상태로 롤백 |
3 | 시스템 이미지 복구 | 전체 이미지 복원(있을 때) |
4 | 명령 프롬프트 | SFC/DISM/CHKDSK 실행 |
안전 모드: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복구 → 고급 시작
또는 WinRE에서 ‘고급 옵션 → 시작 설정 → 다시 시작’ 후 4
또는 F4
를 눌러 진입해요. 안전 모드에서 드라이버 제거/롤백이 쉬워요.
🔧 드라이버·윈도우 업데이트
문제 발생 직전 업데이트가 있었다면 ‘업데이트 제거’로 되돌려봐요. 설정 → Windows 업데이트 → 업데이트 기록 → 업데이트 제거
경로예요. 품질 업데이트가 원인일 때 효과적이에요.
드라이버는 ‘장치 관리자’에서 문제 장치를 우클릭 →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드라이버 롤백
을 시도해요. GPU/칩셋/스토리지는 제조사 공식 드라이버가 안전해요. GPU는 깨끗한 재설치를 원하면 DDU(전문가용)로 클린 인스톨을 고려해요.
🔁 안정 버전 재설치 가이드
장치 | 권장 조치 | 비고 |
---|---|---|
GPU | 공식 드라이버 클린 인스톨 | 게임 중 BSOD 잦을 때 |
스토리지(NVMe/SATA) | 컨트롤러 드라이버 갱신 | DPC_WATCHDOG에 유효 |
무선/유선 NIC | 최신 드라이버 | 절전 옵션 해제 |
💾 메모리·디스크 하드웨어 진단
메모리 테스트: 실행창에 mdsched.exe
입력 → 다시 시작 후 검사. 오류가 나오면 램 모듈을 슬롯 교차 테스트하고 XMP/오버클럭을 끄고 JEDEC 기본값으로 부팅해요.
디스크 점검: chkdsk C: /f /r
, 제조사 SSD 툴로 S.M.A.R.T. 상태 점검, NVMe 펌웨어 업데이트 확인. 전원 케이블/데이터 케이블 접촉 불량도 잦은 원인이에요.
🧪 하드웨어 원인체크 요약
영역 | 의심 상황 | 조치 |
---|---|---|
RAM | MEMORY_MANAGEMENT | 메모리 진단, XMP 해제 |
SSD/HDD | DPC_WATCHDOG | 컨트롤러/펌웨어 갱신 |
전원 | 부하 시 다운 | 파워 용량·출력 점검 |
발열 | 게임·렌더링 중 | 먼지 청소/써멀/팬 커브 |
외장 장치 분리: 프린터/USB 허브/캡처보드 등 주변기기를 모두 빼고 테스트하면 충돌 원인을 빨리 좁힐 수 있어요. 재현이 멈추면 하나씩 다시 연결해 범인을 찾아요.
🛡 소프트웨어 충돌·보안 점검
클린 부팅: msconfig
→ 서비스 탭에서 ‘Microsoft 서비스 숨기기’ 체크 → 나머지 모두 해제 → 시작 프로그램 최소화. 이 상태로 안정적이면 서드파티 서비스/앱 충돌이 원인이에요.
보안: Microsoft Defender 오프라인 검사를 돌려요. 악성 드라이버/루트킷이 커널 충돌을 일으키기도 해요. 불법 크랙·튜닝 도구는 제거해요.
🧰 충돌 의심 앱 예시
범주 | 예 | 대응 |
---|---|---|
가상 드라이브/튜닝툴 | 커스텀 드라이버 | 제거·정식 버전 사용 |
구형 백신/방화벽 | 커널 후킹 | 최신화 또는 교체 |
오버클럭 도구 | 전압/타이밍 조정 | 기본값 복원 |
레지스트리 무분별 편집은 피하고, 시스템 파일/서비스는 기본값을 유지해요. 문제 재현이 멈추면 앱을 하나씩 추가하며 원인을 특정해요.
📈 재발 방지 최적화 체크리스트
1) 정기 업데이트(선택 업데이트 포함) → 2) 복원 지점/이미지 백업 → 3) 드라이버는 공식·안정 버전 고정 → 4) 발열/먼지 관리 → 5) 전원/배선 점검 → 6) 확장 카드·주변기기 펌웨어 최신 유지.
✅ 월간 유지보수 루틴
작업 | 도구/경로 | 주기 |
---|---|---|
Windows 업데이트 | ms-settings:windowsupdate | 월 1~2회 |
드라이버 점검 | 장치 관리자/제조사 앱 | 분기 1회 |
먼지 청소/온도 | HW 모니터링 | 분기 1회 |
백업/복원 이미지 | 시스템 이미지/클라우드 | 월 1회 |
❓ FAQ
Q1. 블루스크린 직후 해야 할 가장 간단한 조치는 뭐예요?
A1. 최근 변경 기억하기 → 안전 모드 진입 → 업데이트/드라이버 롤백 순으로 진행해요.
Q2. 오류 코드를 어디서 확인하나요?
A2. 블루스크린 화면의 코드, 이벤트 뷰어
와 신뢰성 모니터(perfmon /rel)
를 확인해요.
Q3. 자동 재부팅 때문에 코드를 못 봐요.
A3. 시스템 속성 → 고급 → 시작 및 복구에서 ‘자동으로 다시 시작’ 체크를 해제해요.
Q4. 게임 중 VIDEO_TDR_FAILURE
가 떠요.
A4. 그래픽 드라이버 클린 재설치, 발열/전원 점검, 오버클럭 해제해요.
Q5. 부팅 직후 CRITICAL_PROCESS_DIED
가 납니다.
A5. SFC/DISM로 복구하고 최근 품질 업데이트를 제거해요.
Q6. 메모리 관련 오류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A6. mdsched.exe
로 검사, 모듈/슬롯 교차 테스트, XMP 비활성화로 확인해요.
Q7. DPC_WATCHDOG_VIOLATION은 뭔가요?
A7. 스토리지 타임아웃이 원인인 경우가 많아 컨트롤러/펌웨어 갱신을 권해요.
Q8. 업데이트 후 반복 BSOD가 나요.
A8. ‘업데이트 제거’로 롤백하고, 문제 KB가 재설치되지 않도록 일시 중지해요.
Q9. 어떤 드라이버가 문제인지 빠르게 찾는 법은?
A9. 클린 부팅으로 범위를 좁히고 장치 관리자 느낌표/최근 설치 항목을 우선 점검해요.
Q10. 서드파티 드라이버 자동 업데이트를 써도 되나요?
A10. 권장하지 않아요. 제조사 공식 채널이 안정적이에요.
Q11. 환경이 망가져서 로그인도 안 돼요.
A11. WinRE → 시스템 복원 또는 ‘이 PC 초기화(내 파일 유지)’를 사용해요.
Q12. 블루스크린이 특정 USB 장치에서만 떠요.
A12. 해당 장치 드라이버/펌웨어 갱신, 전력 공급 문제(허브/케이블)도 점검해요.
Q13. 바이러스가 원인이 될 수 있나요?
A13. 커널 후킹형 악성코드가 원인이 될 수 있어 오프라인 검사를 권해요.
Q14. 전원 끊김 후 자주 발생해요.
A14. 파일 시스템 손상 가능성 → CHKDSK와 전원 장치(멀티탭/PSU) 점검해요.
Q15. 온도와도 관련 있나요?
A15. 발열로 인한 스로틀/오류가 빈발해요. 먼지 청소와 써멀 관리가 중요해요.
Q16. 오버클럭은 꼭 꺼야 하나요?
A16. 문제 해결 과정에서는 기본값으로 복귀하는 게 안전해요.
Q17. 블루스크린 덤프 파일은 어디에 있어요?
A17. C:\Windows\Minidump
와 MEMORY.DMP
에 저장돼요.
Q18. 덤프 분석은 어떻게 하나요?
A18. WinDbg/WhoCrashed 같은 도구로 분석하면 문제 드라이버 힌트를 얻을 수 있어요.
Q19. SSD 수명 저하도 원인이 되나요?
A19. 불량 섹터나 컨트롤러 이슈가 있다면 가능해요. S.M.A.R.T.로 확인해요.
Q20. 전원 관리 설정은 어떻게 두면 좋아요?
A20. 데스크톱은 균형/고성능, 노트북은 절전 기능이 과도하면 장치 끊김이 생길 수 있어요.
Q21. 레지스트리 ‘튜닝’ 스크립트가 도움이 되나요?
A21. 검증되지 않은 스크립트는 위험해요. 기본값 유지가 좋아요.
Q22. 새 하드웨어 장착 후 문제예요.
A22. 호환성/BIOS 업데이트, 전력 요구, 드라이버 충돌을 점검해요.
Q23. 가상화(VM) 사용 중 잦아요.
A23. 하이퍼바이저 드라이버와 CPU 가상화 설정, 메모리 과할당을 조정해요.
Q24.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의심돼요.
A24. 최신 드라이버/전원 절약 해제, 고속 링크 설정을 조정해요.
Q25. 특정 프로그램 실행 시만 발생해요.
A25. 해당 앱을 재설치·업데이트하고, 충돌 드라이버가 없는지 확인해요.
Q26. 복원 지점이 없어요.
A26. 다음부터는 ‘시스템 보호’를 켜두고, 현재는 WinRE 도구/초기화를 고려해요.
Q27. 전원공급장치(PSU) 불안정이 영향 있나요?
A27. 과부하·노후 PSU는 순간 전압강하로 커널 오류를 유발할 수 있어요.
Q28. USB 허브를 쓰면 더 자주 떠요.
A28. 전력 부족/칩셋 호환 문제일 수 있어요. 직접 본체 포트에 연결해요.
Q29. 로그 수집은 어떻게 자동화하죠?
A29. 신뢰성 모니터 내보내기, 이벤트 뷰어 사용자 지정 보기로 정리해요.
Q30. 최후의 수단은 뭔가요?
A30. 데이터 백업 후 ‘이 PC 초기화(모든 항목 제거)’ 또는 클린 설치예요.
⚠ 주의사항 및 면책조항
본 문서는 일반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안내된 절차를 적용하는 과정과 결과(데이터 손실, 하드웨어 손상, 소프트웨어 충돌, 라이선스 위반, 보안 사건 등)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사용자에게 있어요. 작업 전 중요 자료는 외장 드라이브·클라우드로 이중 백업하고, 기업·기관 환경에서는 내부 보안 정책과 자산 관리 기준을 우선하세요.
시스템 파일·펌웨어·레지스트리·전압/타이밍 등 고급 설정 변경은 위험을 수반해요. 단계별로 진행하고, 복원 지점/시스템 이미지 등 회귀 수단을 준비하세요. 정품 소프트웨어·합법 라이선스만 사용하고, 서드파티 도구는 제공자의 이용약관·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확인하세요. 외부 링크의 콘텐츠·정책은 각 제공자에 귀속되며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어요. 본 문서는 법률·세무·기술적 보증 또는 대리를 제공하지 않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