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컴퓨터 소리 안날 때 해결법, 10분 트러블슈팅

by 알쓸신블러 2025. 8. 24.
이 콘텐츠는 제휴 마케팅 활동을 통해 업체로부터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PC에서 소리가 안 나면 당황스러워요. 다행히 원인은 대부분 설정/케이블/드라이버처럼 단순한 곳에 있어요. 아래 순서를 그대로 따라오면 대다수 상황에서 바로 해결되곤 해요.

 

내가 생각 했을 때 가장 빠른 루틴은 “출력 장치 확인 → 볼륨믹서/음소거 해제 → 기본 장치 지정 → 드라이버/서비스 재시작 → 케이블/포트 교차 → 앱 권한/코덱 점검”이에요.

 

⚡ 1분 점검: ‘기본 출력’만 바로 바꿔도 해결!
👇 바로 열어서 장치와 볼륨을 확인해요
🔊 빠른 시작 버튼
사운드 설정과 볼륨믹서를 열어 기본 장치/앱별 음량을 체크해요.
컴퓨터 소리 안날 때 해결법, 10분 트러블슈팅

🧭 증상 분류와 원인 지도

증상별로 의심 포인트가 달라요. “모든 앱 무음”과 “특정 앱만 무음”, “헤드셋만 무음”은 원인이 다르죠. 아래 표로 유형을 먼저 가늠해요.

 

🧩 증상 → 우선 점검 매핑

증상 가능 원인 첫 조치
모든 소리 무음 기본 출력 장치 오설정/음소거/서비스 중지 기본 장치 지정·서비스 재시작
앱 일부만 무음 볼륨믹서 앱 음소거, 앱 설정 오디오 출력 지정 볼륨믹서·앱 오디오 장치 확인
HDMI/DP 모니터만 무음 디스플레이가 오디오 미출력/채널 불일치 모니터 스피커/오디오 리턴·케이블 확인
블루투스만 무음 프로파일(HFP/A2DP) 전환/권한/멀티포인트 충돌 장치 제거 후 재페어·통화 모드 해제
헤드셋만 무음 전면패널 미연결/단자 불량 후면 포트 교차·메인보드 HD_AUDIO 확인

윈도우는 앱별로 출력 장치를 다르게 지정할 수 있어요. 게임/회의 앱이 다른 장치로 연결돼 있지 않은지 꼭 봐요.

 

🔌 케이블·스피커·헤드셋 하드웨어 점검

하드웨어 쪽부터 빠르게 훑으면 시간을 절약해요. 전원·케이블·물리 스위치가 의외로 많이 걸려요.

 

🔍 물리 점검 체크리스트

항목 정상 이상 시
스피커 전원/볼륨 LED ON, 노브 중간 이상 전원 어댑터·배선 확인
음소거 스위치 OFF 헤드셋/키보드 Mute 해제
케이블 색상 녹색=라인아웃, 분홍=마이크 포트 교차 테스트
3.5mm 접촉 딸깍 고정 산화/먼지 청소·다른 케이블
전면 패널 HD Audio 커넥터 연결 메인보드 헤더 재체결

모니터 내장 스피커는 기본 볼륨이 낮게 설정돼 있어요. 모니터 OSD에서 ‘스피커/오디오’가 켜져 있는지 확인해요.

 

🪟 윈도우 사운드 설정·볼륨믹서·기본 장치

출력 장치와 볼륨믹서를 바르게만 맞춰도 대부분 해결돼요. 앱별 출력 장치가 따로 지정돼 있으면 소리가 엉뚱한 장치로 나가요.

 

🧾 경로·설정 요약

설정 경로/명령 권장
기본 출력 장치 설정 → 시스템 → 소리 → 출력 실사용 장치로 설정
볼륨 믹서 설정 → 소리 → 볼륨 믹서 앱 음소거/출력 장치 확인
장치 속성 사운드 컨트롤(mmsys.cpl) 사용 안 함 해제·기본값 지정
향상 기능 장치 속성 → 향상 문제 시 ‘모든 향상 사용 안 함’
독점 모드 고급 → ‘응용 프로그램에 독점 권한’ 회의앱 문제 시 OFF 테스트

노트북은 ‘Fn + 스피커 아이콘’ 조합키로 시스템 음소거가 걸려 있을 수 있어요. 키보드 상단 펑션키도 확인해요.

 

🧰 드라이버·서비스·코덱 복구

업데이트/드라이버 충돌로 사운드 서비스가 멈추거나 잘못된 장치로 바인딩되기도 해요. 재시작·재설치만으로 복구되는 경우가 많아요.

 

🧪 복구 루틴

# 동작 방법
1 오디오 서비스 재시작 서비스에서 ‘Windows Audio’/‘Endpoint Builder’ 재시작
2 장치 관리자 점검 오디오 입력 및 출력/사운드, 비디오 및 게임 컨트롤러
3 드라이버 롤백/재설치 제조사(Realtek/Conexant/NVIDIA HD Audio) 드라이버
4 문제 해결사 설정 → 시스템 → 문제 해결 → 기타 문제 해결사(오디오)
5 코덱/앱 초기화 특정 앱만 무음이면 앱 재설치/캐시 삭제

명령 예시(관리자 PowerShell): Get-Service Audiosrv,AudioEndpointBuilder | Restart-Service · mmsys.cpl 실행으로 고전 사운드 패널 열기.

 

🎧 대안: 외장 USB 사운드카드로 즉시 복구
메인보드 오디오 고장 의심 시 USB DAC/사운드카드가 빠르고 확실해요.

📺 HDMI/DP·USB·블루투스 연결별 해결

연결 방식마다 체크 포인트가 달라요. 특히 HDMI/DP는 디스플레이가 오디오를 지원해야 소리가 나요.

 

🔗 연결별 체크

연결 포인트 해결
HDMI/DP 모니터 스피커/오디오 지원 모니터 OSD에서 스피커 ON, 케이블 교체
DP→HDMI 어댑터 액티브 여부 오디오 지원 액티브 어댑터 사용
USB 헤드셋 자체 사운드 장치 기본 장치로 지정, 전원관리 해제
블루투스 프로파일 전환(A2DP/HFP) ‘통화’ 프로필 해제, 재페어
3.5mm 아날로그 단자 감지 Realtek 콘솔에서 잭 재할당

회의 앱(예: Teams/Zoom)은 자체 오디오 장치를 따로 설정해요. 시스템 기본 장치가 바뀌면 앱 내부 설정도 함께 맞춰요.

 

🍎 macOS·🐧 리눅스 체크 포인트

윈도우 외 환경에서도 기준은 같아요. 출력 장치·볼륨·서비스(서버)·프로파일을 확인해요.

 

💻 macOS / Linux 요약

플랫폼 경로/명령 메모
macOS 시스템 설정 → 사운드 → 출력 오디오 MIDI 설정에서 샘플레이트/형식 확인
macOS Option+사과메뉴 → 시스템 정보 → 오디오 장치 인식 점검
Linux pavucontrol / alsamixer 음소거(M) 해제·출력 변화
Linux systemctl --user restart pipewire-pulse PulseAudio/PipeWire 재시작

블루투스 헤드셋은 통화 모드(HFP)일 때 음질이 낮고 앱에 따라 무음이 될 수 있어요. 음악 감상은 A2DP 모드로 전환해요.

 

❓ FAQ

Q1. 작업표시줄 스피커 아이콘엔 소리 표시가 나오는데 실제로는 안 들려요.

A1. 출력 장치가 다른 곳으로 잡힌 거예요. 볼륨믹서에서 앱별 출력 장치를 확인해요.

Q2. 장치가 ‘사용 안 함’으로 숨겨져 있나요?

A2. mmsys.cpl → 빈 공간 우클릭 → ‘사용 안 함 장치 표시’를 켜고 활성화해요.

Q3. HDMI로 화면은 나오는데 소리가 안 나요.

A3. 모니터가 오디오 미지원일 수 있어요. 모니터 OSD/스피커 확인 또는 3.5mm/외장 스피커를 써요.

Q4. 노트북 이어폰 단자에서만 무음이에요.

A4. 잭 감지 문제일 수 있어요. 다른 케이블로 테스트하고 Realtek 오디오 콘솔에서 재할당해요.

Q5. 헤드셋 마이크는 되는데 소리는 안 나요.

A5. TRRS(4극) 분기/배선 이슈일 수 있어요. CTIA 규격 어댑터를 사용해요.

Q6. 블루투스는 연결됐는데 무음이에요.

A6. 통화 프로파일로 붙었을 수 있어요. 장치 속성에서 음악(A2DP)으로 바꿔요.

Q7. 드라이버를 지웠더니 장치가 사라졌어요.

A7. 장치 관리자 → ‘하드웨어 변경 사항 검색’으로 재인식 후 제조사 드라이버를 설치해요.

Q8. 윈도우 업데이트 후 무음이 됐어요.

A8. 선택적 업데이트의 오디오 드라이버를 롤백하거나, 시스템 복원을 사용해요.

Q9. 게임만 소리가 안 나요.

A9. 게임 내 오디오 장치가 별도 지정됐을 수 있어요. 게임 설정에서 시스템 기본으로 바꿔요.

Q10. 디스코드/회의 앱에서만 무음이에요.

A10. 앱의 출력 장치와 독점 모드를 확인하고, 앱을 관리자 권한으로 재실행해요.

Q11. USB 사운드카드로는 되는데 내장 사운드는 무음이에요.

A11. 내장 오디오 회로 문제 가능성. BIOS에서 오디오가 켜져 있는지도 확인해요.

Q12. 마이크는 되는데 출력만 안 돼요.

A12. 출력 기본 장치가 다른 곳일 확률이 커요. mmsys.cpl에서 기본 장치·기본 통신 장치를 구분해요.

Q13. 노트북이 도킹스테이션에 연결되면 무음이에요.

A13. 도킹 오디오 장치로 기본이 바뀌어요. 출력 장치를 수동 지정해요.

Q14. 소리가 끊겼다가 돌아와요.

A14. 전원관리로 USB/PCI 장치가 절전될 수 있어요. 전원 옵션에서 절전 해제해요.

Q15. 5.1채널인데 소리가 한쪽만 나요.

A15. 스테레오 소스/채널 매핑 문제. 구성에서 스테레오로 바꾸거나 테스트 사운드로 배선 점검해요.

Q16. 외부 스피커에서 ‘지직’ 노이즈만 나요.

A16. 접지/전원 노이즈. 다른 콘센트 사용·노이즈 필터·USB 전원 격리로 개선돼요.

Q17. 윈도우 문제 해결사가 도움이 되나요?

A17. 드라이버/서비스/기본 장치 자동 교정에 유용해요. 먼저 돌려보는 걸 권장해요.

Q18. 오디오 향상 기능은 켜둘까요?

A18. 문제 시 일단 OFF가 좋아요. 특정 장치에서 버그를 줄여요.

Q19. 샘플레이트/비트심도는 뭘로 두나요?

A19. 24bit 48kHz가 호환성이 좋아요. 앱 요구에 따라 조정해요.

Q20. 리모트 데스크톱 접속 후 무음이에요.

A20. 원격 세션으로 출력이 전환돼요. 세션 종료 후 기본 장치를 재지정해요.

Q21. 백신이 영향을 줄 수 있나요?

A21. 드물게 오디오 훅을 차단해요. 보안 기능을 일시 해제해 비교해요.

Q22. 새 스피커인데도 무음이에요.

A22. 3.5mm TRS/TRRS 규격 확인·볼륨 노브·전원 스위치를 점검해요.

Q23. 스피커 좌우가 바뀌었어요.

A23. 배선/채널 설정 문제. 테스트 톤으로 확인하고 L/R 케이블을 교차해요.

Q24. 헤드셋과 스피커를 동시에 쓰고 싶어요.

A24. 스테레오 믹스/오디오 라우팅 앱을 사용하거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고려해요.

Q25. 재부팅할 때마다 기본 장치가 바뀌어요.

A25. 새 장치 우선 정책 때문. 사용하지 않는 장치는 ‘사용 안 함’으로 두어요.

Q26. 브라우저 탭에서만 무음이에요.

A26. 탭 음소거(아이콘)를 해제하거나 사이트 권한/오디오 장치를 확인해요.

Q27. 윈도우 클린 설치 없이 해결 가능하나요?

A27. 대부분 설정/드라이버로 해결돼요. 최후에만 초기화를 고려해요.

Q28. Realtek 오디오 콘솔이 안 열려요.

A28. UWP 앱/드라이버 불일치. 메인보드 제조사 패키지로 통합 재설치해요.

Q29. DAC/AMP를 써도 되나요?

A29. 음질/출력 개선과 함께 문제 회피에 도움이 돼요. USB DAC가 간편해요.

Q30. 최종 점검 순서를 요약해 주세요.

A30. 기본 장치/볼륨 → 볼륨믹서 앱별 출력 → 케이블/포트 → 서비스/드라이버 → 연결 방식별 대책 → 앱 내부 설정 순서로 보면 돼요.

 

반응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