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SSD 용량 확보 팁, 깔끔하게 비우는 루틴

by 알쓸신블러 2025. 8. 26.
이 콘텐츠는 제휴 마케팅 활동을 통해 업체로부터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SSD가 꽉 차면 속도도 같이 떨어져요. 여유 공간을 10~20% 유지하는 게 성능·수명에 좋아요. 아래 순서를 그대로 따라오면 빠르게 수십 GB를 회수할 수 있어요.

 

내가 생각 했을 때 가장 효율적인 플로우는 “대용량 파일부터 정리 → 시스템 캐시/업데이트 잔여물 청소 → 앱·게임 이동 → 클라우드/아카이브 분리 → 자동 청소와 경고 설정”이에요.

 

⚡ 클릭 몇 번으로 30~80GB 바로 회수!
👇 관리 도구와 업그레이드를 한 번에 확인해요
🧰 빠른 시작 도구 & 업그레이드
대용량 탐색기·저장소 센스·NVMe 업그레이드 검색 바로가기.
SSD 용량 확보 팁, 깔끔하게 비우는 루틴

⚡ 5분 만에 끝내는 빠른 정리

우선 ‘큰 것부터’ 지우면 시간이 절약돼요. 시스템 도구만으로도 금방 공간이 열려요.

 

🧯 바로 효과 나는 항목

항목 경로/명령 기대 회수량
디스크 정리(관리자) cleanmgr /sageset:1cleanmgr /sagerun:1 ~10GB+
저장소 센스 설정 → 시스템 → 저장소 ~5~20GB
다운로드·휴지통 탐색기 빠른 접근 가변
Windows Update 잔여물 디스크 정리의 ‘Windows Update 정리’ ~5~15GB
브라우저 캐시 설정 → 개인정보 → 캐시 삭제 ~1~5GB

대용량 탐색: 탐색기 검색창에 size:>1GB 입력 → 날짜순/크기순으로 정리하면 ‘숨은 괴물 파일’이 금방 보여요.

 

🪟 윈도우 심화 청소(숨김·시스템 파일)

체계적으로 시스템 파일을 다루면 수십 GB를 더 확보할 수 있어요. 주의해서 진행해요.

 

🧰 심화 항목 요약

대상 방법 메모
WinSxS(컴포넌트 저장소) DISM /Online /Cleanup-Image /StartComponentCleanup 오래된 업데이트 제거
시스템 복원 지점 시스템 보호 → 구성 → 최대 사용량 축소 최근 1~2개만 유지
하이버네이션 파일 관리자 CMD: powercfg -h off 용량만큼 즉시 회수
임시/로그 %TEMP% 폴더 비우기 닫힌 앱만 삭제
Windows.old 디스크 정리로 제거 업그레이드 후 잔여
OneDrive 오프라인 복제 파일 우클릭 → 공간 확보 온라인 전용 전환

가상메모리(pagefile.sys)는 자동 권장이에요. 무리하게 줄이면 앱이 불안정해질 수 있어요. 크래시덤프도 ‘커널만’으로 낮추면 수GB를 절약해요.

 

🎮 앱·게임·미디어 이동/압축 전략

용량을 가장 많이 잡아먹는 건 보통 게임·동영상·가상머신이에요. C: 드라이브를 가볍게 유지해요.

 

📦 이동·정리 가이드

대상 조치 비고
UWP 앱 설정 → 앱 → 이동으로 다른 드라이브 빠르고 안전
Steam/Epic 게임 라이브러리 폴더 추가 → 설치 폴더 이동 재다운로드 없이 이동
사진/동영상 외장SSD/NAS로 이동, 썸네일만 로컬 백업 동시 확보
가상머신/도커 스토리지 경로 외장/보조 SSD로 변경 수십 GB 절약
압축 NTFS 압축(아카이브 폴더 우클릭→고급) 읽기 위주 폴더에만

동영상 편집 프로젝트/프록시는 작업용 SSD와 아카이브 디스크를 분리하면 C:가 늘 쾌적해요.

 

☁ 클라우드·백업·아카이브 설계

클라우드 동기화 설정만 잘해도 공간을 크게 아낄 수 있어요. ‘자주 쓰는 건 로컬, 나머지는 온라인 전용’ 원칙으로요.

 

🗂 권장 구성

서비스 효과
OneDrive 선택 동기화, 파일 온디맨드 로컬 0바이트 유지
Google Drive 스트리밍 모드 캐시만 로컬
백업 버전·스냅샷 보관 주기 최적화 중복 최소화

집에 NAS가 있다면 ‘콜드 아카이브(사진 RAW, 완료 영상)’를 NAS로 옮기고, 로컬엔 미리보기/프록시만 남기는 방식이 효율적이에요.

 

🍎 macOS·🐧 Linux 공간 회수

윈도우가 아니라면 이렇게 정리해요.

 

💻 플랫폼별 요약

플랫폼 명령/경로 비고
macOS Apple 메뉴 → 이 Mac에 관하여 → 저장 공간 관리 큰 파일/중복 확인
macOS iCloud Drive ‘저장 공간 최적화’ 로컬 캐시 축소
macOS brew cleanup Homebrew 캐시 제거
Linux sudo apt clean && sudo apt autoremove Deb 계열 패키지 정리
Linux journalctl --vacuum-time=7d 로그 기간 제한
Docker docker system prune -a 미사용 이미지/볼륨 제거

스냅샷/타임머신은 생명줄이라 완전 삭제보다 보존 주기만 줄이는 게 좋아요.

 

🧭 재발 방지와 SSD 건강 관리

한 번 비웠다면 자동 청소와 경고를 걸어 꾸준히 유지해요.

 

🧑🏻‍🔧 유지 루틴

항목 설정 주기
저장소 센스 매주 자동 실행 1주
다운로드 정리 30일 지난 파일 자동 삭제 월 1
업데이트 정리 DISM 컴포넌트 클린업 분기 1
대용량 점검 탐색기 size:>1GB 월 1
여유 공간 경고 10~15% 이하시 알림 상시

TRIM은 기본적으로 자동이에요(defrag /L로 확인). 펌웨어 업데이트와 S.M.A.R.T. 체크도 가끔 보세요.

 

❓ FAQ

Q1. 여유 공간은 최소 몇 %가 좋아요?

A1. 10~20%를 권장해요. 성능과 수명에 도움이 돼요.

Q2. 하이버네이션 끄면 문제 없나요?

A2. 절전/빠른 시작을 쓰지 않는다면 꺼도 돼요. 노트북은 신중히 결정해요.

Q3. pagefile을 없애면 공간이 많이 생기나요?

A3. 생기지만 권장하지 않아요. 메모리 부족 시 앱 크래시가 늘 수 있어요.

Q4. Windows.old 삭제해도 되나요?

A4. 이전 버전으로 되돌릴 계획이 없으면 정식 도구로 삭제해도 돼요.

Q5. 디스크 정리 vs 저장소 센스 무엇이 좋아요?

A5. 센스는 자동화에 강하고, 디스크 정리는 더 세밀한 항목을 제공해요.

Q6. 중복 파일 제거기는 안전할까요?

A6. 문서/사진 폴더엔 유용하지만 시스템 폴더는 제외해야 해요.

Q7. OneDrive ‘공간 확보’는 파일을 삭제하나요?

A7. 로컬 캐시만 지우고 클라우드에 남겨요. 인터넷 연결 시 다시 받으면 돼요.

Q8. 압축하면 속도가 느려지지 않나요?

A8. CPU 여유가 있으면 체감 적어요. 자주 쓰지 않는 폴더에만 적용해요.

Q9. 대용량 폴더를 한눈에 보는 방법?

A9. 탐색기 검색 size:>1GB 또는 전용 분석기(트리맵) 사용이 편해요.

Q10. 복원 지점을 줄이면 위험하지 않나요?

A10. 최신 1~2개는 남기고 비우면 안전과 공간을 모두 챙길 수 있어요.

Q11. 게임을 다른 드라이브로 옮겨도 업데이트가 되나요?

A11. 런처의 ‘이동’ 기능을 쓰면 정상 업데이트돼요.

Q12. 다운로드 폴더 자동 삭제는 위험하지 않나요?

A12. 30일 이상 미사용 파일만 지우도록 설정하면 위험이 낮아요.

Q13. Steam 셰이더 캐시를 지워도 되나요?

A13. 지워도 재생성돼요. 공간이 급할 때 일시적으로 비워요.

Q14. 가상머신 디스크는 어떻게 줄이나요?

A14. 내부 정리 후 ‘compact/shrink’ 기능을 사용해요.

Q15. 사진 ‘라이브/중복’ 정리는 어떻게?

A15. 촬영 앱의 원본/편집본 중복을 정리하고, RAW는 아카이브로 이동해요.

Q16. Docker가 공간을 많이 먹어요.

A16. docker system prune -a로 미사용 이미지/볼륨을 제거해요.

Q17. 로컬 스냅샷은 삭제해도 되나요?

A17. 삭제하면 되돌리기가 제한돼요. 주기만 줄이는 걸 권해요.

Q18. 천천히 차오르는 이유가 뭔가요?

A18. 캐시/업데이트/로그가 누적돼요. 자동 청소를 켜두면 완화돼요.

Q19. 사진/동영상은 어디에 보관할까요?

A19. NAS·외장 SSD·클라우드(중복 백업)로 분산을 추천해요.

Q20. NTFS 압축과 ZIP 아카이브 차이는?

A20. NTFS는 투명/자동, ZIP은 수동·휴대성이 좋아요.

Q21. 시스템 폴더 정리는 위험하죠?

A21. 네. 정식 도구/가이드로만 청소해요. 임의 삭제는 금지예요.

Q22. 포토/비디오 앱의 캐시 위치는?

A22. 편집 앱별 캐시 폴더를 프로젝트 SSD가 아닌 보조 드라이브로 지정해요.

Q23. 백업 때문에 두 배로 쓰여요.

A23. 백업 대상에서 임시/캐시 폴더를 제외하고 보존 버전을 줄여요.

Q24. 레지스트리 청소가 도움 되나요?

A24. 용량 회수 효과는 거의 없어요. 권장하지 않아요.

Q25. 윈도우 스토어 앱 캐시는?

A25. 설정 → 앱 → 해당 앱 ‘초기화’로 캐시를 줄일 수 있어요.

Q26. RAM 디스크를 쓰면 SSD가 덜 찰까요?

A26. 캐시/임시파일을 RAM으로 보내면 SSD 쓰기를 줄이지만 전력/안정성 고려가 필요해요.

Q27. 포맷하면 가장 깔끔하죠?

A27. 맞지만 시간·위험이 커요. 먼저 정리 루틴을 시도하세요.

Q28. 스마트폰 백업이 용량을 잡아먹어요.

A28. 백업 위치를 보조 드라이브로 바꾸고, 오래된 이미지 삭제를 고려해요.

Q29. 사진/영상 썸네일 데이터베이스는 지워도 되나요?

A29. 지워도 재생성되지만 최초 로딩이 잠시 느려질 수 있어요.

Q30. 최종 루틴 요약은?

A30. 대용량 탐색 → 시스템 청소 → 앱/게임 이동 → 클라우드/아카이브 → 자동화·경고 설정 순서예요.

 

반응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